한국인이 주로 이용하는 소셜미디어는 카카오톡과 유튜브
한국에서 손꼽히는 사회관계망서비스(SNS)는 무엇일까요? 한국언론진흥재단이 발표한 '2024 소셜미디어 이용자 조사' 결과에 따르면, 많은 사람들이 카카오톡과 유튜브를 주로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번 블로그 글에서는 이 조사 결과를 중심으로, 한국인의 소셜미디어 이용 현황과 뉴스·시사정보 이용 패턴에 대해 자세히 분석하겠습니다.
소셜미디어 이용 현황
2024 소셜미디어 이용자 조사에 따르면, 카카오톡의 이용률은 98.9%로 가장 높게 나타났습니다. 다음으로 유튜브가 84.9%, 인스타그램이 38.6%, 밴드가 28.6%, 그리고 네이버 블로그가 21.7%를 기록하였습니다. 조사에 응답한 사람들은 평균적으로 약 4.25개의 소셜미디어 플랫폼을 사용하는 것으로 파악되었습니다.
각 연령대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소셜미디어도 일관된 패턴을 보였습니다. 모든
연령대에서 카카오톡이 1위에 올랐고, 유튜브가 2위에 랭크되었습니다. 그러나 3위부터는
연령대별로 다른 이용 행태를 보여주었습니다.
2030세대에서는 인스타그램의 인기가 높았습니다. 20대의 80.9%와 30대의 70.7%가 인스타그램을 이용하고 있었으며, 이는 3위를 차지하는 주요 이유입니다. 반면, 5060세대에서는 밴드의 이용률이 높았습니다. 50대의 40.6%와 60대의 31.1%가
밴드를 사용하여, 해당 연령대의 3위로 자리매김했습니다.
소셜미디어를 통한 뉴스·시사정보 이용
조사 결과에 따르면, 소셜미디어를 통해 뉴스 및 시사정보를 이용한
경험이 있는 응답자는 전체의 35.9%에 달했습니다. 주요
이용 플랫폼은 유튜브였으며, 많은 이용자들이 개인이나 단체가 운영하는 시사 채널(63.6%)과 신문사·방송사의 공식 채널(63.0%)을 통해 정보를 받아들이고 있었습니다.
이 중 65.1%의 응답자들은 소셜미디어가 언론 역할을 수행한다고
생각했습니다. 특히 언론사의 공식 계정(87.4%)이나 전현직
언론인이 운영하는 시사채널(63.5%)을 신뢰하는 경향이 높았습니다.
반면, 개인 유튜버 및 BJ가 운영하는 시사정보
채널을 언론으로 간주하는 경우는 22.8%에 불과했습니다. 이러한
결과는 소셜미디어를 통한 뉴스 소비가 증가하고 있지만, 정보의 신뢰성에 대한 인식은 플랫폼과 운영 주체에
따라 크게 다르다는 것을 시사합니다.
조사 방법과 신뢰도
이번 조사는 한국언론진흥재단의 의뢰를 받아 메트릭스가 지난해 10월부터 11월 사이에 만 19세 이상 성인
3000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방문면접조사 결과를 분석한 것입니다. 표본오차는 ±1.8%포인트로, 신뢰수준은
95%입니다. 이러한 조사 결과는 한국인의 소셜미디어 이용 현황을 종합적으로 이해하는 데
중요한 정보를 제공합니다.